yum은 Yello dog Updater, Modified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패키지 설치 / 업데이트 도구다. 중앙서버에서 패키지를 관리해 주므로 일관된 버전 관리가 가능하다. yum이 사용되기 전 rpm으로 패키지를 설치해 본 시스템 관리자라면, yum 없이 관리하는게 얼마나 힘든일인지를 알고 있을 것이다.
Red Hat Enterprise Linux, Fedora, CentOS 등 RPM 기반의 배포판들은 모두 yum을 사용하고 있다.
내가 사용하는 Ubuntu 노트북을 yum repository 서버로 사용한다. Ubuntu는 RPM 기반의 배포판이 아니지만 저장소로 꾸미는데 아무런 제한이 없다. repository 테스트는 는 Virtualbox(:12)를 이용, centos 운영체제를 guest vm을 만들어서 테스트 하기로 했다.
클라이언트의 yum 설정 파일은 /etc/yum.conf다. 여기에서는 yum repository를 이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옵션만 설명한다.
cachedir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정보를 가져와야 하는데, 매번 수천개의 패키지를 다운로드 하는 건 낭비다. yum 클라이언트는 yum repository와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정보를 cache 디렉토리에 저장해서 빠르게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경로는 /var/cache/yum이다. cache 정보는 sqlite(:12) db에 보관한다.
yum 저장소와 패키지 정보를 삭제한다.
Contents
1. yum에 대해서
2. yum repository를 만든 이유
3. 환경
4. 만들어 보자
5. 웹서버 설치
6. 테스트
7. yum client 설정
1. yum에 대해서
2. yum repository를 만든 이유
3. 환경
4. 만들어 보자
5. 웹서버 설치
6. 테스트
7. yum client 설정
Recent Posts
Archive Post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