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izing with Spring Boot Hello World [JOINC EDU]

사실 도커에 대한 내용은 어느 블로그나 영상을 통해서, 무궁무진하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론 및 실습에 대해서 전체적인 스토리 라인을 구성해서 industry에 실사례들을 들으면서 설명한 강의들은 현저히 적다. 우리는 Joinc Channel 통해서 첫번째 Chapter 1에서부터 Docker 를 잘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지식들, 히스토리, 그리고 실습까지 알아보려고 한다. 그리고 Chapter 2에서 범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java server applicationdmf 빠르게 제작하기 위해서 Spring Boot에 대해서 공부하고 Showtime 을 통해 application server를 만들어보려고 한다. Chapter 3 에서는 실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DockerFile 제작을 통해서 앞에서 만들었던 Java application server를 docker를 통하여 build 및 image 를 생성시켜 containr를 돌려본다. 마지막 Chapter 4에서는 Docker 가 현업에서 어떤식으로 쓰이고 있는지 각종 실용적인 예를 공부하고, 대표적인 분산처리 시스템 in-memory system, Spark를 Docker Image를 다운받고 바로 실행시켜봄으로써 Docker Community 강점을 체험해본다.

[STEP 1] Coin Activity (Burning, Minting, Mining, Staking, Airdrop, Pegging, Whitelist)

코인의 세계에 입문하게 되면, 다양한 코인 활동? `Coin Activity` 용어들을 접하게 된다. 가령, 민팅, 마이닝, 에어드랍, 버닝, 페깅, 추가적으로 화이트리스트 정도가 있다. 2020년도 우연히 Tokenomics 관련 회사 대표님과 압구정에서 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이때 처음으로 Airdrop 단어를 접하였다. 그 대표님은 반려동물 Theme 을 이용하여 NFT 를 발행하려는 Tokenomics 사업을 런칭하기 직전이었고, 그때 Whitelist에 한하여 Airdrop 을 하실 예정이고 나에게 제안할거라 감사하게 말해주셨다. 하지만 Blockchain 및 Coin 산업에 많이 가깝지 않았던 나는 질문했다.

Learning and Hacking VPC [JOINC EDU]

클라우드시대에 돌입했다. 과거 네트워크와 시스템은 인프라 담당자의 점유물이었으나 이제는 개발자도 클라우드를 통해서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는 시대가 있다. AWS는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다. VPC는 AWS의 네트워크 서비스로 VPC를 이용해서 인터넷 상에 나만의 VPC를 만들 수 있다. EC2와 함께 AWS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인 VPC에 대해서 살펴보자.

About Ethereum Gas Fee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만들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어디에선가 돈을 충당해야 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는 가스비(Gas Fee)라는 수수료를 징수해서 이를 네트워크 기여자에게 나눠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더리움은 거래 시스템 즉 경제 시스템이기 때문에, "자산을 거래 시키는 사람"이 가스비를 낸다. 이 가스비는 채굴자(miners)에게 보상을 하는데 사용한다.

[STEP2] Coin Offering (ICO, IEO, IDO, IUO)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과연 창업이나 투자에 대해서 얼마나 관심있을까? 창업에 관심이 있다면 물론 고객들이 만족하는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중대한 목적이 되겠으나, 궁극적으로 final call에서 merge and acquisiton 일까? 아니면 IPO 일까? 그럼 여기서 나온 IPO는 무엇일까? 만약 모른다면, 여러분들이 주식을 할때 어떻게 stocks 구매할 수 있으며, 또는 비상장 마켓에서 비상장주를 구매할 수 있을까? 그것은 상장된 회사들이 주식회사이고, IPO 즉 Initial Public Offering 을 통해서 기업공개를 코스피 또는 코스닥에 했기때문이다. 그럼 과연 Crypto 회사에서 발행하는 코인은 주식처럼 어떻게 거래소에서 상장하거나 관심있는 고객들에게 거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까? 그 Concept 들을 이번 시간에 공부해보려 한다. 앞서 말하면, 크게 ICO, IEO, IDO, IUO 방법들이 있다.

  • J.phil
  • 2022-07-23 05:44:40
  • 713
  • tags:

[STEP3] Coin Environment (Mainnet, Testnet, Coin, Token)

사실 이 Post가 나에게 가장 값지게 다가온다. 처음 Coin Community 에 참여했을 당시 사람들이 (사실 나 빼고 기존에 이미 Coin or Token 쪽 산업에서 오랜 경험을 갖고 있는 분들) "Token 은 만들었고 이제 사람들한테 Airdrop 하려고 준비중이야", "그런데 그 Coin은 Utility Coin이던데 그 Business model 에서 어떻게 확장할 수 있을지 궁금하던데?" "일단 우리회사에서 Minting한 Token들 Testnet에서 여러 case들 테스트해보고 그 다음 mainnet 가보려고", 이런 얘기들을 하며 왕래하고 있었다. At that time, I was totally a good listener surrounding the people. 자! 여러분들도 이런 sounds like smart workers 들과 의미있는 대화 및 논쟁을 하고 싶지 않은가? 그렇다면 일단 Mainnet, Testnet, Coin vs Token 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Then Follow Me and Joinc,

  • J.phil
  • 2022-07-23 06:36:03
  • 612
  • tags:

[STEP 4] Blockchain Object Terms. (Wallet, Vault, Contract Address, Public and Private Key, Transaction, Gas, TVL, APR, APY)

언제부터 였을까? 지갑이라는 단어가 온라인 상에서 더욱 Frequently 사용되었던 시기는. 분명히 블록체인이 각광받게 되고 사람들이 메타마스크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네트워크로 코인 자산을 전송하고 싶을때인 것 같다. 블록체인에 한층 더 들어가려면 다양한 Terms 및 구성 요소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들을 짧고 굵게 리뷰하려 한다.

[STEP 5] Blockchain Structure (Types, Genesis, Header, body, Life Cycle, TPS, OFF-CHAIN, ON-CHAIN, SIDE-CHAIN)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데이터 형태를 의미합니다. 자료구조로 보면 딱 링크드 리스트입니다. 링크드 리스트 자료구조를 보면 각 데이터 덩어리(노드)는 다음 순서의 자료가 있는 위치를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도 근본적으로 링크드 리스트이기 때문에 이러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STEP 6]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 (POS, POW, POA, DPOS, BFT, RBFT, IBFT)

블록체인은 합의(consensus) 과정을 통해서 원장의 신뢰를 보증한다. 믿을 만한 방법을 이용해서 합의를 한 원장이니, 이 원장은 믿어도 된다. 라는 것이다. 블록체인 상에서 합의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를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이라고 한다.

[STEP 7] Decentralized Services (DAO, DAPP, DEX, DEFI)

탈중앙화된 자율조직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 완전 자동화된 기업(Fully Automated Business entity: FAB), 또는 분산된 자율 회사 (Distributed Autonomous Corporation/Company: DAC)는 약한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이다. 이것은 생산기능을 최대화하며 그 작업을 계산 가능한 상호작용 작업으로 분할한다. 또 이것은 작업들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