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et 기초 

sub-networking 을 이해하려면 우선 IP( 번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관리되어지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IP 번호에 대해서는 TCP/IP 개요(2) 에서 간단하게 알아본적이 있는데 이번장에서는 IP 번호에 대해 좀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할것이다....

Port Scannig 검사툴 

Port Scannig 검사툴...

libpcap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Libpcap(이하 pcap)은 "Portable Packet Capturing Library"의 줄임말이며, 해석그대로 "간단하게 패킷을 캡쳐하기 위한 함수모음(라이브러리)" 이다. 물론 pcap 외에도 패킷캡쳐를 위한 도구들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운영체제에 종속적이여서, 운영체제별로 코드를 다시 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대표적인 도구로는 ...

Pcap을 이용한 패킷캡쳐 응용 

Pcap을 이용한 패킷캡쳐 응용...

Tcpdump와 WireShark를 이용한 패킷 분석 

Tcpdump와 WireShark를 이용한 패킷 분석네트워크 관리자는 아니라서 tcpdump를 달고사는 건 아니지만 간혹 네트워크 프로그램 디버깅 목적으로 사용하곤 합니다. 그 때마다 드는 생각이 있죠. "왜 리눅스에는 윈도우의 wireshark와 같은 GUI 기반의 분석툴이 없을까. ?".클라우드 관련일을 하다보니, 패킷을 분석해야할 일이 많아진 요즘에...

HTTP Cache 제어 

HTTP Cache 제어 미완성기본적으로 나는 HTTP 기반 서비스를 만들 때, 성능을 우선 생각하지는 않는다. 우선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요청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쉽게 확장 가능한지)와 서버 몇 놈이 뻗더라도 서비스는 문제없이 작동하는 가용성을 중하게 생각한다. 초기에 성능은 유저가 "젠장! 느리잖아?"라는 말이 나오지 않을 수...

우분투 리눅스 최소 설치 

우분투 리눅스 최소 설치 그동안은 우분투 데스크탑을 주로 사용해 왔다. 데스크탑 환경인 만큼 그냥 기본 설치를 해도 2G가 넘는 디스크 공간이 필요하다. 요즘 디스크 공간이 워낙 크니 이 정도 공간은 무시할만 하다고 하겠다. 설치후 데스크탑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온갖 애플리케이션을 다 설치해도 4G면 떡을 친다.그런데, 어쩌다 보니 최소 크기의 우분...

공공기관에서의 리눅스 사용전환에 성공한 뮌헨 

공공기관에서의 리눅스 사용전환에 성공한 뮌헨독일의 도시인 뮌헨이 자체 개발한 리눅스 운영체제를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성공했다고 2013년 12월 12일 오늘 발표했다.뮌헨은 윈도우즈 NT에서 LiMux로 운영체제 이전에 성공함으로써, 유럽에서 가장 성공적인 오픈소스 사용사례중 하나로 남게 됐다. LiMux는 뮌헨에서 자체 개발한 오픈소스...

리눅스 locale 설정 

리눅스 locale 설정Locale(로케일은) 프로그램을 언어와 국가에 최적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지역/언어"정보다. 프로그램은 유저(보통 시스템 관리자)가 설정한 locale에 따라서, 입/출력 인코딩을 적용해서 메시지를 출력한다. 로케일관련 패키지는 locales이고, 보조적으로 각 언어별로 language-pack-패키지가 있다.locale -a로...

CentOS minimal Install 

CentOS minimal Install본격적으로 리눅스를 접한게 1999년인데, 레드햇 기반의 알짜 리눅스로 리눅스 바닥에 입문을 했습니다. 음.. 리눅스 1.5세대쯤? 되는 분들은 써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후 쭉 레드햇 기반의 리눅스를 사용했습니다. 몇개 한글 배포판을 거친다음에 사용한게 맨드레이크 리눅스였구요.그러다가 데비안 기반의 우분투 리눅스...